반응형
1. kubectl ?
- kubectl이란?
→ Kubernetes 클러스터를 관리하는 명령줄 도구로, 실무에서 Kubernetes 리소스를 조회하고 조작하는 데 필수적이다. - 이 글을 왜 읽어야 하나?
→ 초보부터 실무자까지 kubectl의 핵심 명령어를 익혀 실전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도록 정리했다.
2. 명령어
🔹 [1] Pod 관련 명령어
- kubectl get pods : 현재 네임스페이스 내 pod 리스트 조회
- kubectl get pods -o wide : pod의 IP, 노드 정보 등 상세 조회
- kubectl get pods -A : 모든 네임스페이스의 pod 출력
- kubectl get pods --watch : pod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
🔹 [2] Node 관련 명령어
- kubectl get nodes : 클러스터 내 노드 리스트 조회
🔹 [3] 로그 및 리소스 확인
- kubectl logs [pod명] : 특정 pod의 로그 확인
- kubectl top pod [pod명] : pod의 CPU 및 메모리 사용량 확인
- kubectl top node [node명] : node의 리소스 사용량 확인
🔹 [4] Pod 접속 및 설정 확인
- kubectl exec -it [pod명] -- sh : 해당 pod 내부로 접속
- kubectl config view : 현재 Kubeconfig 설정 확인
🔹 [5] HPA & 배포 관련 명령어
- kubectl get hpa : HPA(자동 확장) 정보 조회
- kubectl describe hpa [hpa명] : 특정 HPA 상세 정보 확인
- kubectl edit deployment [deployment명] : 배포 설정 변경
🔹 [6] 클러스터 및 배포 관리
- kubectl cluster-info : 클러스터 상태 확인
- kubectl delete pods [pod명] : 특정 pod 삭제
- watch kubectl get pods -o wide : pod 상태를 실시간으로 3초마다 갱신하여 배포 모니터링
3. 마무리
- 실무에서 자주 쓰는 kubectl 명령어를 정리해봤다.
- Kubernetes 운영을 처음 접하는 사람도, QA 및 서버 운영을 담당하는 사람도 꼭 알아야 할 필수 명령어다.
- 이 외에도 자주 쓰는 명령어가 있다면 댓글로 공유 부탁! 🚀
반응형
'🚀 IT > ✏️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💡 하나의 서버에 여러 프로세스를 실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(2) | 2025.04.21 |
---|---|
📌 서버에서 tar 파일 권한 오류? chmod 조건과 소유자 개념 정리 (0) | 2025.04.18 |
🛠️인증서 설치부터 만료일 확인, Apache 재기동까지 한눈에! (0) | 2025.04.17 |
🛠️vi 단축키 완전 정복: 자주 쓰는 명령어 한눈에 보기 (0) | 2025.04.16 |
리눅스 라우팅 설정 방법 - 임시 적용 vs 영구 적용 (0) | 2025.04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