📌 [TIL] tar 파일 권한 오류? chmod 조건과 소유자 개념 정리
🧩 오늘의 상황
서버에서 tar -tvf 2025.tar 명령어를 실행했더니 아래와 같은 오류 발생:
tar: 2025.tar: Cannot open: Permission denied
tar: Error is not recoverable: exiting now
확인해보니 파일 권한은 -rw-r-----, 즉 640.
권한은 있어 보이는데 왜 접근이 안 되는 걸까?
🔍 원인 분석
- 파일 소유자가 나와 같은 계정이 아니라면, chmod조차 할 수 없음.
- wheel 그룹에 속해 있더라도, 파일의 '소유자'가 아니면 권한 변경은 불가.
- 640 권한의 의미:
- 소유자: 읽기/쓰기 가능 (rw-)
- 그룹: 읽기 가능 (r--)
- 그 외: 접근 불가 (---)
즉, 내가 그룹 사용자로서 읽기만 가능한 상황인데, tar 명령어는 내부적으로 **읽기 이상 작업(디렉토리 확인 등)**을 하므로 접근이 막힘.
🛠️ 해결 방법
✅ 1. 소유자인 경우
chmod 644 2025.tar # 읽기 권한 부여
✅ 2. 소유자가 아닌 경우
sudo 권한이 있는 계정일 경우:
sudo chmod 644 2025.tar
🔧 소유자 확인 명령어
ls -l 2025.tar
# 결과 예시:
# -rw-r----- 1 user1 wheel 12345 Apr 23 14:00 2025.tar
→ user1이 파일 소유자라는 의미.
💬 마무리 한줄
단순히 chmod만 생각했는데, 결국은 소유자 개념이 중요했다.
실무에서 파일 접근이 안 될 때는 꼭 소유자, 그룹, 권한 세 가지를 먼저 확인하자!
'🚀 IT > ✏️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✨ TIL - Crontab 5자리 vs 6자리 차이와 cron 표현식 완벽 정리 🔧 (1) | 2025.04.23 |
---|---|
💡 하나의 서버에 여러 프로세스를 실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(2) | 2025.04.21 |
🛠️인증서 설치부터 만료일 확인, Apache 재기동까지 한눈에! (0) | 2025.04.17 |
🛠️vi 단축키 완전 정복: 자주 쓰는 명령어 한눈에 보기 (0) | 2025.04.16 |
리눅스 라우팅 설정 방법 - 임시 적용 vs 영구 적용 (0) | 2025.04.04 |